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웃음은 경영효율과 직결 <BR><BR>여자들은 낯선 남자들과의 대화에서 자신을 더 웃긴 남자를 다시 만나고 싶어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. </P> <P>여성은 유머감각이 있는 남성에게 본능적으로 끌리게 된다는 것이다. </P> <P>이런 남자와 맺어지면 사회생활뿐 아니라 가정생활도 원만하게 유지해 자손을 통해 여성 자신의 유전자가 계속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. <BR><BR>잘 살려면 유머감각을 키워라는 조언이 그냥 흘려들을 말이 아니다. </P> <P>TV를 보면 개그맨, 혹은 개그맨 저리 가라고 할 만큼 재치있고 유머러스한 말솜씨를 지닌 가수며 탤런트들이 각광받는 게 요즘 추세다. 웃음을 유발하는 코믹광고가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, 관객의 폭소와 미소를 자아내는 영화가 대중의 호응을 얻어낸다.<BR><BR>비즈니스에서도 유머감각은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. </P> <P>직장인들은, 능력이 있지만 엄격하게 굴지 않고 유머도 잘 하는 상사나 동료를 선호한다고 한다. </P> <P>유머는 조직생활을 순조롭게 풀어가게 하는 윤활유 구실을 하기 때문이다. </P> <P>긴장감이 가득한 비즈니스 협상테이블에서 툭 던지는 재치있는 말 한마디가 분위기를 이완시키는 것은 물론, </P> <P>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어 마침내 협상이 성사되도록 하는 천군만마 같은 원군 노릇을 하기도 한다. <BR><BR>99년 2월10일자 동아일보에<BR>IBM은 매년 뉴욕 허드슨 강변의 펠러세이드에서 중역회의를 열 때마다 존 모리얼이라는 유머 컨설턴트를 기조연설자로 초청한다. 모리얼은 중역들을 웃기는 것은 물론, 웃음이 부하직원과의 의사소통에 경이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도 가르친다.<BR><BR>IBM 외에 세계 유수의 대기업들도 경영효율을 높이는 수단으로 거금을 들여가며 웃음 전문가를 초빙한다. </P> <P>유머를 통해 조직에 웃음과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효과적이란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. </P> <P>또한 조직에 웃음이 퍼지면 근로자들이 건강해져서 의료보험 부담도 그만큼 줄어들고, </P> <P>소속감과 연대의식이 강해져 고급 인력을 경쟁회사에 빼앗길 위험도 줄어든다는 게 정설이다.<BR><BR>지난 1월 말 LG경제연구원은 회사가 불황이나 구조조정 등으로 위기에 처했을 때는 IQ(지능지수)가 높은 직원보다는 EQ(감성지수)가 높은 직원이 힘을 발휘한다는 자료를 내놓았다. </P> <P>회사가 어려울 때는 종업원들이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업무에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으므로 똑똑한 직원보다는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감성까지 잘 다스려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할 줄 아는 직원이 회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이직률도 낮다?는 게 핵심적인 주장. 세계의 일류 기업들이 유머감각이 풍부하고 잘 웃는 사원을 선호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라는 설명이다.<BR>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